2025.04.20 (일)

  • 맑음동두천 23.1℃
  • 흐림강릉 16.2℃
  • 맑음서울 22.5℃
  • 구름많음대전 21.5℃
  • 흐림대구 14.5℃
  • 흐림울산 13.7℃
  • 구름많음광주 23.1℃
  • 흐림부산 14.7℃
  • 구름많음고창 20.1℃
  • 구름조금제주 18.8℃
  • 맑음강화 20.9℃
  • 구름많음보은 21.5℃
  • 구름많음금산 21.9℃
  • 구름많음강진군 24.8℃
  • 흐림경주시 13.6℃
  • 흐림거제 13.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산업일반

해양수산부, 2024년 3분기 전국 항만 물동량 3억 8,974만 톤 처리

-총 항만물동량(컨/비컨)은 전년 대비 1.6% 증가, ‘컨’ 물동량은 전년 동기보다 3.5% 증가한 782만 TEU 처리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해양수산부는 2024년 3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전년 동기(3억 8,350만 톤)보다 1.6% 증가한 총 3억 8,974만 톤(수출입화물 3억 3,344만 톤, 연안화물 5,630만 톤)의 물량을 처리했다고 밝혔다.

 

2024년 3분기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3억 2,646만 톤) 대비 2.1% 증가한 3억 3,344만 톤으로 집계됐으며, 연안 물동량은 전년 동기(5,703만 톤) 대비 1.3% 감소한 5,630만 톤이었다.

 

항만별로 보면 부산항, 울산항, 평택·당진항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6%, 5.1%, 1.9% 증가했고 광양항, 인천항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9%씩 감소했다.

 

2024년 3분기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전년 동기(756만 TEU) 대비 3.5% 증가한 782만 TEU로 집계됐다.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432만 TEU) 대비 0.2% 증가한 433만 TEU를 기록했다. 이는 중동정세, 컨테이너 운임 불안정성 등에도 불구하고 미국·중국 등 주요 교역국과의 수출입 물동량 증가(미국 14.3%↑, 중국 3.0%↑ 등)에 힘입어 증가세를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환적물량도 전년 동기(319만 TEU)에 비해 8.0% 증가한 345만 TEU를 기록했다.

 

주요 항만별 물동량을 살펴보면, 부산항은 전년 동기(576만 TEU)에 비해 4.9% 증가한 604만 TEU를 처리했다. 이는 미국(17.8%↑)과 중국(6.0%↑)의 수출입 물동량 증가에 기인한 결과로 보여진다. 세부적으로 부산항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266만 TEU)에 비해 1.2% 증가한 269만 TEU를,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기(310만 TEU) 대비 8.1% 증가한 335만 TEU를 기록했다.

 

인천항은 자동차 및 부품 등의 컨테이너 수출 감소 등으로 전년 동기(88만 TEU) 대비 1.9% 감소한 86만 TEU를 처리했다.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87만 TEU) 대비 1.8% 감소한 85만 TEU를 기록했고,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기(1.2만 TEU) 대비 9.3% 감소한 1.1만 TEU를 기록했다.

 

광양항은 전년 동기(49만 TEU) 대비 1.8% 증가한 50만 TEU를 처리했다. 수출입 물동량은 42만 TEU(전년 동기 42만TEU)를,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기(7.5만 TEU) 대비 13.4% 증가한 8.5만 TEU를 기록했다. 이는 광양항을 이용하는 주요 글로벌 선사의 원양(중남미) 서비스 유치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 항만의 2024년 3분기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총 2억 5,256만 톤으로, 전년 동기(2억 5,239만 톤) 대비 0.1% 증가했다. 울산항, 평택·당진항, 대산항, 인천항은 물동량이 증가했으나 광양항은 감소했다.

 

광양항은 석유정제품과 철광석 수입, 석유가스 등의 물동량은 증가했으나 원유, 유연탄 등의 물동량이 감소하면서 전년 동기(6,210만 톤) 대비 1.0% 감소한 6,150만 톤을 처리했다.

 

울산항은 원유 수입 물동량은 감소했으나 석유정제품, 석유가스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4,634만 톤) 대비 5.0% 증가한 4,867만 톤을 처리했다.

 

평택·당진항은 광석 수입은 감소했으나 석유가스, 자동차 등의 수입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2,408만 톤) 대비 1.6% 증가한 2,446만 톤을 처리했다.

 

대산항은 원유 수입과 석유정제품 수출 물동량 등이 증가하면서 전년 동기(1,900만 톤) 대비 21.3% 증가한 2,304만 톤을 처리했다.

 

인천항은 석유가스 물동량 증가 등에 따라 전년 동기(2,203만 톤) 대비 0.6% 증가한 2,216만 톤을 처리했다.

 

품목별로 보면 유류, 자동차는 각각 5.2%, 5.0% 증가했고 광석, 유연탄은 각각 4.2%, 6.1% 감소했다.

 

유류의 경우 울산항, 광양항의 원유 물동량은 감소했으나 대산항의 원유 수입, 인천항, 보령항, 광양항 등의 석유가스 수입, 울산항과 대산항의 석유정제품 수출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기(1억 970만 톤) 대비 5.2% 증가한 1억 1,546만 톤을 기록했다.

 

광석의 경우 광양항과 포항항 물동량은 증가했으나 평택·당진항, 동해·묵호항, 인천항 등의 물동량 감소로 전년 동기(3,257만 톤) 대비 4.2% 감소한 3,119만 톤을 기록했다.

 

유연탄의 경우 하동항, 평택·당진항의 수입 물동량은 증가했으나 동해‧묵호항, 보령항, 태안항 등의 수입 물동량이 감소하여 전년 동기(3,261만 톤) 대비 6.1% 감소한 3,061만 톤을 기록했다.

 

자동차는 전년 동기(2,232만 톤) 대비 5.0% 증가한 2,343만 톤을 기록했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미국, 중국 등 주요국과의 수출입 증가에 힘입어 3분기까지 컨테이너 물동량의 증가세가 지속됐다.”라며, “해양수산부는 연말까지 항만운영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 관리하여 수출입 물류 여건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최신기사

더보기

정치·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학생 교육을 위한 파트너, 따뜻한 정책으로 접근해야”
▲임 교육감,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 경지지부장들 만나 심도 있는 면담 진행 어웨이크뉴스 오경하 기자 |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18일 도교육청에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경기지부장들을 만나 교육공무직원의 근무환경과 처우 개선을 위한 심도 있는 면담을 진행했다. 임 교육감은 이 자리에서 “서로가 파트너로서 학생의 교육을 위해 어떤것이 좋을지 종합적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의논해야 한다”며 “타지역과 형평성을 토대로 균형을 맞춰 생계가 어렵지 않도록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교육 현장에서 여러분의 수고 덕분에 경기도 학생들이 있는 만큼 실질적 보상이 되고 도움이 되는 따뜻한 정책으로 접근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도교육청은 지난 2022년 6월부터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경기지부와 단체교섭을 개시하고 매주 수요일 노조 요구안 총 817개 항에 대한 실무교섭을 진행해 올해 6월이면 만 3년을 앞두고 있다. 현재까지 노사간 총 133회 단체교섭과 집중간사협의(2024년 7월~ 2025년 2월)를 운영했고 큰 틀에서 단체협약 체결에 이를만한 수준으로 합치가 이뤄지는 성과가 있었다. 도교육청은 연대회의 주요 요구사항 중 ▲유급병가 확대(30일→60일) ▲학

라이프·문화

더보기